본문 바로가기
record :book

비상식적 성공 법칙 - 간다 마사노리 part.1

by 달다_0 2022. 12. 27.
반응형

책의 내용


이 책은 조금 더 꼼꼼하게 보고 싶어 Part.1과 2로 나누어 작성합니다.

추천사부터 남달랐습니다. 먼저 ‘역행자’로 깊은 충격을 주었던 ‘자청’님과 잠재의식, 끌어당김의 힘을 나누는 마인드 파워 스페셜리스트 ‘조성희’님, 박세니마인드코칭대표 인 ‘박세니’님이 추천의 글을 써주셨는데, 하나같이 화제의 중심에 있는 분들이 추천하는 책이라고 생각하니 더 읽고 싶어 졌습니다.

먼저 놀랐던 것은 책이 첫 출간된 지 20여 년이 흘렀다는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래식은 영원하다는 말처럼 모든 성공법칙의 베이스라고 할 수 있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프롤로그부터 제 마음이 그대로 글로 쓰인 것 같았는데, 누구도 신경 쓰지 않고 싫은 사람과 일하지 않는 삶을 위해라는 제목은 제가 지난 한 해 일하면서 느꼈던 그대로였습니다.

성공은 ‘악’의 감정에서 시작된다고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당연한 일입니다. 모든 것이 이미 만족스럽고 행복한 사람은 그 상태에 머무르고 싶어 합니다. 악은 추진력을 이끌어내는 강력한 에너지입니다. 이 에너지는 우리가 움직일 수 있게 동기부여를 해준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필요합니다.

작가는 사실 성공법칙은 단순하고 명료하지만, 성공한 사람들에 의해 너무도 복잡하고 어려운 것으로 왜곡되어 소개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따라 하면 성공할 수 있는 핵심인 8가지 습관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Part.1 인 이 포스트에서는 4개만 먼저 소개합니다.

첫 번째 습관


하기 싫은 일을 찾아내기.

이 작업은 최근에 읽은 다른 책에서도 발견한 구절이라, 그 당시 읽고 바로 실천에 옮겼었는데, 제가 하기 싫은 것은 놀랍게도 제가 하고 있는 일과 일치했습니다.
저의 경우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는데, 저는 저의 에너지를 다른 사람들을 기르는 데 투자하기보다 제가 가진 기술과 재능으로 스스로 조금 더 ‘주인공’의 자리에 설 수 있는 일을 하고 싶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또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집에서도 일할 수 있고, 스스로 고용되어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원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두 번째 습관


자신에게 최면을 걸기.

이것은 간단해서 누구나 할 수 있음에도 오직 소수의 사람만 지속하는 작업인 것 같습니다.
내가 원하는 목표를 매일 아침에 일어나서 혹은 자기 전 몽롱한 상태, 즉 의식이 깨어나기 전이나 무의식 세계로 접속하기 직전에 쓰고 마음속으로 읽는 것입니다.
목표를 이룰 때까지 지속한다면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에너지를 주고 스스로 최면 상태에 들게 하여 뇌는 답을 찾기 위해 우리가 잠든 시간에도 부단히 노력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어떤 형식의 문장으로 목표를 쓰고, 목표를 설정할 때 고려할 것들을 알려줍니다.



세 번째 습관


내가 바라는 직함을 만들기.

스스로 평범한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한 성공하기 어렵다고 작가는 말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평소에 가지고 있던 평범한 사람이라는 셀프 이미지를 넘어서려는 순간 불안해지며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저항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작가의 경우 컨설팅 강의를 했는데, 가르치는 일이 하기 싫었고, 사람들을 가르친다고 생각하니 쉽게 지치고 강의장에 가는 것이 스트레스로 느껴지기까지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에너지를 주는 Super energizing teacher이라고 스스로의 이미지를 바꾸었습니다. 남들에게 긍정적인 기운을 불어넣는 선생님의 이미지를 만든 것입니다. 이렇게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스스로에게 각인시킨 후에는 즐겁게 일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습관은 저도 꼭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게, 나의 시각을 바꾸면 일이 조금 더 즐거워지는 경험을 했던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저의 직업 특성상, 아이 한 명 한 명에게 완벽히 지식을 이해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니 스트레스를 받았었는데, 사실 어린아이들이라 저 선생님처럼 외국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구나!라는 동기부여만 주어도 성공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수업 때 어떻게 하면 하나라도 더 가르칠까,라는 생각보다 아이들을 즐겁게 해 주기로 마음먹고 노력했더니 더 좋은 결과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네 번째 습관


목표 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이 장에서는 인간에게 주어지는 똑같은 24시간을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출퇴근 시간에 성공한 사람들의 오디오를 활용하는 방법이나 포토리딩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팟캐스트를 듣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보통 지하철에서 이동시간에 밀리의 서재 앱을 이용해서 책을 읽습니다. 운전해서 이동하는 사람들에게는 듣는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